오늘은 지붕을 덮을까 합니다. 


3-Tab Shingles이라고 부르는 지붕자재를 준비했습니다. 

제가 사는 곳에서는 80% 가까이.. 아주 흔하게 사용되는 것입니다. 

요즘은 철제지붕도 가끔있고, 부잣집들은 오각형이나 특이한 모양을 쓰기도 하지요. 

 




저 지붕이 30도 인데요. 올라서보니 생각보다 가파르다고 해야될까요. 서있기가 후달립니다.


 


그래서 안전장치 몇가지를 준비했습니다. 



요걸 착용해야됩니다. 


그리고 발받침도 설치해야됩니다.




준비가 되었으면 설치를 시작합니다.


급하게 하면 안됩니다. 안전이 제일이니까요. 후덜덜


 



아스팔트 종이를 깔아주고요 겹치도록 아래부터 깔아줍니다. 

아스팔트 종이는 일반과 두배로 두꺼운것이 있습니다.

전 그냥 일반깔아줍니다. 제 돈은 소중하니까요.

 


처마 끝에는 드랍엣지라는 철판을 붙여줍니다. 



맨처음은 밑장이 없으니까 밑장은 한줄 쭉 거꾸로 깔아줍니다. 


처음은 후달리는 지붕위에 안올라가고 사다리 타고 해결

 

선을 잘 맞추어서 박아줍니다. 

네일러건이 없어서 망치로 하나하나 박아주었어요...

 

중간에 끈끈한 아스팔트고무가 눈금처럼 되어있는데요. 

이게 햇빛에 뜨거워지면 윗장과 붙어서 튼튼하게 됩니다. 


위로 올라갈수록 발받침도 따라 올라가서 설치하고요. 

빨간색은 홈디포, 파란색은 로우스에서 구입..똑같아요..최소한 3셋트는 필요하더군요..

 그리고 생명줄은 꼭 붙들고 있어야 되요.

 
 

 
마지막에 꼭대기는 양쪽 끝을 겹치고, 그위에 사다리꼴로 자른 판을 곂쳐서 박아주면 완성

색깔이 차콜인데요..검정색..그런데 햇빛에 따라 색이 다양하게 나오네요.


방수포를 붙이고, 지붕 마무리하러 올라갔더니, 와이프가 사진을 찍어줬습니다. 



 

어느새 겨울이 다가와 춥습니다. 덜덜

 

 

추운날 작업후에는 삽겹살이 역시~  ^^

기본 골격을 마쳤으니 

이제 프레임에 합판을 붙일 차례입니다. 


요즘 시간이 별로 없어서 며칠에 걸쳐서 했더니, 그새 잔디밭이 누렇게 변했습니다. 


 


혼자서 해야하니 시간은 좀 걸리지만... 

뭐 급할 것도 없고, 꼴리는대로~ ^^



옆판부터 붙여보겠습니다.




높이를 맞추어서 합판을 올려 놓을 수 있는, 나무조각을 박아줍니다.  

그 위에 합판을 올려놓고, 
내친구!!! 바이스가 잡고 있는 사이 사진 한방. 

그리고 나사못으로 언넝 붙여줍니다. 


한장씩 한장씩 붙이면 
한쪽면 끝~!!!

 


맞은편도 높이 맞춰서 나무조각을 아래에 먼저 붙이고, 합판을 올려줍니다. 



앞 뒷면도 붙여주면 벽을 끝입니다. 


 
자 이제 지붕에 합판을 올려보겠습니다. 

합판이 무거워서 혼자서는 사다리 타고 올릴수가 없습니다. 

 

그런고로 고대로부터 내려오는 건축기술인 도르래를 이용해 보겠습니다 

 

요로케 생긴 도르래를 4개를 이용해 보겠습니다 

우선 지붕꼭대기에 2개를 달아줍니다. 

 

그리고 올릴 합판에 두개를 달아줍니다. 

그러면 당겼을때 1/5의 힘으로 올라가게 됩니다마.. 이게 각도가 있어서 처음에는 힘이 좀 드는군요..

 

그래서 각도를 줄일라고 받침대를 설치하니 좀 편합니다.

혼자서 얼마나 용을 썼는지, 팔에 근육이... 

 

 

하나 올리고 나사못 박고, 하나올리고 박고 하니 어느새 지붕이 다 올라가는 군요.

 

 

다 올리고 나서 창문 구멍을 뚫어줄껍니다.  

 
 
 
안쪽에서 보면 이렇습니다. 

사진을 찍다보니 작업하다 하나씩 없어진 공구들이 보입니다. 저위에 장도리 하나 보이지요..ㅋ

 

 

 


지붕 모서리쪽에도 하나 올라가 계십니다. 



창문 구멍은 루터로 뚫어줍니다. 톱밥이 엄청 생기지만 깔끔하게 뜷어줄 수 있지요.





뒷쪽 창도 뚫어 주고요.



앞 뒤로 여름에 뜨거워진 지붕 밑 공기를 빼주는 환기구도 뚫어줍니다.




 


앞 뒤 사진이 똑같군요..


내일부터는 지붕작업을 해야겠습니다. 



시간날때마다 창고에 매달렸더니... 

머리만 붙이면 그냥 잠들었다가, 눈 뜨면 아침이군요. 


오늘은 서까래를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와이프가 가장 신기하게 생각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자기가 도와주겠다고 하는데, 사실 안도와주는게 도와주는건데, 

혼자 지붕 기초공사를 해야하는게 무척이나 못미더운 눈치입니다. 



다올리면 이런 모습입니다. 



이걸 모두 혼자 올렸습니다. 

자꾸 제가 해내지 말입니다. 

음하하하하


 



우선 앞 뒷면에 올릴 서까래를 먼저 올리고요. 


올리는 방법은 거꾸로 양 모서리를 양쪽벽에 올려주고요 




반대편에 받침목을 붙인다음 중간기둥에 지지대를 박아서 돌려서 올려줍니다. 


다 만들고나면 멋드러지지만, 혼자서 여러 역할을 해야하기 때문에 

작업속도도 느리고, 밀고 댕기고, 사다리 올라갔다가 내려왔다가 하느라 사실 폼은 나지 않습니다. 




 


그런다음 만들어놓은 중간 서까래를 같은 방식으로 양쪽을 걸친후






요로케 걸칩니다. 



지지대로 밀어서 세웁니다. 




하나씩 하나씩 올립니다 

물론 하나올리고 좌, 우, 위에 나사로 고정하는것도 중요하죠

 




요로케 걸쳐서 
 



수평으로 세우고






지지대로 밀어 세웁니다. 





끝으로 가면 더이상 같은 방식으로 세울수 없습니다  


그래서 마지막 두개는 미리 올려 놓고 위치를 나중에 잡습니다. 
 



앞 뒤에 처마를 위한 서까래를 만들어 주고요



끝을 마무~의리 해 줍니다  




뒷면도 마무~의리






양쪽면에 마무리를 하기위해서 지그를 만들어 줍니다 



요로코롬 남는 나무로 위치를 잡아 나사로 조여주고요


한쪽 처마끝에 달아줍니다 그러면 이 지그 친구가 나무 한쪽을 잡아줍니다.


이렇게 옆면도 마무~의리




앞뒷면에 "ㄱ"자 형태로 처마를 만들어 줍니다 

 
 지붕 서까래 완성~


요몇일 시간이 없어서 창고공사를 못했더니, 부쩍 쌀쌀해 졌습니다.

오늘은 벽을 세우는 날입니다.  

우선 벽을 세우기 전에 지붕올릴 서까래를 만들었습니다.

서까래는 크기가 커서 바닥에서 작업을 해야 되므로 벽을 세우기 전에 만들면 좋습니다.  

바닥을 도면삼아 그림을 그리고 틀을 만듭니다. 거기에 맞추어서 나무를 끼고, 못을박고, 조이면 완성



작업하는 와중에 사진을 찍으니 자꾸 주변에 너저분한것이 보이는군요.
혼자서 만들랴 사진 찍으랴 아주 정신없습니다. 

 


두둥~~ 아홉개를 만들었습니다.  

참 쉬죠잉~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
 
옆에 다 쓴 리퀴드네일(liquid nail)이 보이시죠. 지지판은 나사로 조여주기전에 리퀴드네일을 꼭발라줍니다. 이게 꽤 강해요.



 
제일 바깥쪽은 벽위에 올릴 서까래 입니다. 두개 필요하겠습니다. ^^





이제 바닥에 만들어놨던 서까래 틀을 다 치우고요. 

창문이 없는쪽 옆면 <벽1>을 만듭니다.




세우기 전에 임시로 쓸 지지대를 우선 달아 줍니다.
도와주는 사람이 있으면 좀더 간단할텐데, 혼자 벽을 세워야하니 지지대가 꼭 필요합니다. 

혼자하는 작업이 신기해 보였는지, 산책하던 동네 사람들이 간간히 구경을 오십니다. 
Awesome~ awesome~ 을 남발해주시는군요. ㅎㅎㅎ
목공은 미국남자들의 로망이라 그런가 봅니다. 
쓰지는 않아도 장비들은 대부분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 앞집에 사시는 곤잘레스 아저씨도 
우리집에서 필을 받으셨는지, 요즘들어 테이블쏘를 간간히 돌려주십니다. 




바닥에도 넘어가지 않게 나무를 대주는것도 중요하죠




영차하고 들어올립니다 

작업을 하니 점점 힘이 쎄지나 봅니다. 20피트 짜리인데 들리는군요..
호랑이 기운이~~ 



반대편 쓸 <벽2>도 만들어 줍니다. 이쪽은 창문이 있습니다. 


두개 달까 한개 달까 고민하다 하나만 달았습니다. 




이번에도 지지대를 달아주고요
 
들어올립니다...앗 그런데 안들립니다.

호랑이 기운이 넘치나 했는데... 아니었나봅니다. 

나무도 같은거라도, 무게가 다르듯이 이번껀 안들리네요..

창문때문에 나무가 조금 더 들어가서인가 봅니다.


 


그래서 창문쪽을  해체하고 벽을 세운다음, 다시 따로 조립했습니다. 


아~ 힘들지만 ..뿌듯하군요






뒤쪽 <벽3>도 세워 줍니다.

세번째인데다가 짧아서 아주 가볍게 올렸습니다. 



기울지 않도록 수평 수직도 잘 보고요.


 
앞쪽 <벽4>도 세워 줍니다. 

문을 달아야하니 앞쪽은 벽1, 벽2, 벽3에 비해서아주 간단해서 좋습니다. 

 
위쪽에 한장씩 나무를 더 올립니다. 

튼튼하라고 겹치게 조립했습니다.

오늘은 서까래를 올렸는데, 모두들 신기해합니다. 
어떻게 혼자 올렸을까요??

오늘은 창고 바닥과 입구 테크부분을 작업했습니다. 





점점 몸에 근육이란것이 생기는 기분이 듭니다. 

노가다 근육... 일명 노근육입니다. 


근육제로일때도 있었는데 말이지요...



창고 건물바닥은 Plywood 합판으로 깝니다.


19/32 보드인데요..좀 두꺼운걸로 할까 했었는데, 역시나 가격이 많이 비싸군요.. 



 



앞부분 데크 부분도 깔아줍니다. 12피트짜리 프리미엄 데크용 나무입니다. 


너비가 12피트라 12피트에 맞춘다음 테두리로 한장을 덧대어 주었습니다. 


데크용 나무는 원사이즈 보다 약 1인치 정도 크게 나와서 맞추어서 잘라줄수 있습니다. 


다른용도는 거의 원사이즈 대로 나오는데 데크용은 조금씩 크게 나와서 좋군요.




위 상판은 데크 나사못을 모서리쪽에 사선으로 박아서 거의 보이지 않습니다. 


점으로 옆에 보이지요..




경사로를 6피트 너비로 하려고 했는데 기준잡을때 바깥쪽으로 잡는바람에 3인치가 커졌네요..


그랬더니 데크보드 12피트짜리를 반으로 잘라서 써야 되는것을 못하게 되어 버렸군요.. 


공구리 쳐놔서 고치지도 못하고...


머 어쩔수 없죠..나무를 더사오기도 그렇고 ..짜집기를 했습니다..


제껀데요..머 누가머랄꺼도 아니고..


뒷마당 한켠에 적당한 자리에 레이아웃을 설치합니다. 



뒷마당에서 제법 잔디가 잘자란 쪽이라 망설였지만 위치상 제일 무난한곳으로 정했습니다.


 

나무말뚝을 박고 실로 레이아웃 그립니다. 


 




기둥을 세울 위치에 땅을 팝니다. 


저 사각형 모냥은 잘 자란 잔디가 아까워서 다른곳으로 옮긴 자국입니다. 


보통은 기둥세울때 원형으로 팝니다.




앗 너무 열심히 하다보니 사진이 없네요.. 누가 찍어주는것이 아니라서..사진찍는걸 자꾸 까먹습니다.


 


기둥을 수평자로 잘 수직으로 세우고, 임시로 받침대를 세워줍니다. 


우선 16피트x 12피트 크기의 사각형을 만들고요




 

뒤쪽으로 연결하여 12피트 x 12피트를 더 만들어 줍니다. 


그러면 총 28피트x 12피트인데요. 


저는 앞쪽 8피트를 데크으로 만들 예정이고 창고크기는 20x12 로 하기로 했습니다. 


이때 정확한 사각형인지 확인하는것이 중요합니다. 머 전 조금틀어져도 괜찮아요. 


제꺼니까요.. 냐하하




앞부분에 잔디떼를 뜯어 옮겨심은것이 보이지요.. 


열심히 나르다가 힘들어서 그만뒸습니다. 나이먹어서 삽질이 힘들어요. 


 



그리고 4피트마다 기둥을 만들기 위해서 먼저 기준이 될 중간바를 설치합니다 


 

구멍을 팟팟팟 파고 밑에 자갈을 넣습니다..벽돌이나 블럭을 넣어도 됩니다. 


 


기둥을 세워주고요. 수직 수평을 꼭 잘 확인후 붙여줍니다.


 

기둥을 팍팍 박아줍니다. 


 

입구에는 편리를 위해 계단 대신 경사로를 만들겁니다. 



 


기둥에 콩크리트를 부어주고 그위에 자갈로 마무의리~


 


땅높이와 맞춘 입구부분도 자갈로 마무의리~


 


바닥 삽질을 마무의리 한다음 중간조인트를 연결연결 해줍니다.


참 쉽죠잉 ~


39개의 구멍을 파고, 시멘트 39포를 날라다가 기둥을 세웠더니.... 

말랑말랑하던 제 살들이 근육이 되는군요. 


보조없이 혼자 슬슬 하는 공사다보니, 

곧 어둠과 추위가 찾아올듯하여 

맘이 급해집니다. 


 



이상 데크 바닥 기초 공사였습니다. 


30년 된 주방 리모델링 마지막 편입니다. 



2탄에서는 부엌 케비넷을 설치했었는데요.
오늘은 그 캐비넷에 문짝 달고
상판 대리석,
그리고 backsplash #주방타일 시공한 것까지 보여드리겠습니다. 

#RINGHULT 캐비닛 문을 설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냉장고캐비넷 #냉장고가벽 시공합니다.   
깔끔하게 냉장고를 넣어주겠습니다.
일반 주방 캐비넷과 마찬가지로 상단에 들어갈 케비넷을 먼저 설치해줍니다.
그리고 옆판을 붙여주면 되지요.

냉장고 부분 옆판을 사이즈에 맞게 잘라줍니다.

이판은 무겁기도 하고, 커서 그런지 배송시 이렇게 깨져왔습니다.
이케아가 멀어서 교환이 불편하네요.

옆에 붙여줍니다.

양쪽을 붙여줍니다.

문짝을 붙여주고요.

손잡이를 붙여줍니다.

스티커를 떼고 마무리해줍니다. 

이케아 주방 싱크대 캐비닛의 가장 큰 장점은 서랍식이라는 것입니다.
일반 캐비닛에 비해 수납이 용이하고,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요즘은 서랍식이 다른 곳에도 많이 나오는 것 같아요.

캐비넷에 들어가는 서랍들도 설명서대로 잘 조립합니다.
설명서를 잘 봐야 합니다. 서랍이 어느 위치에 들어가냐에 따라 조립이 다르거든요.

서랍도 넣어주고요

서랍 손잡이도 달아줍니다.

냉장고 반대쪽도 완성합니다.

케비넷과 서랍을 조립하나서 카운터탑을 기다립니다.
사이즈 재고 나서, 10일쯤 뒤에 상판이 왔습니다.


띠리리리링~ 띠리리리링~

렌지옆에 작은 상판을 올리고요 

싱크대 쪽 상판도 올렸습니다.

이케아 싱크볼을 달았습니다.
저기 틈 사이로 물때가 낀다고, 그냥 대리석 위로 얹는 걸 선호하는 분들도 있는데.
깔끔하게 넣는 것도 좋은 것 같아요.

싱크볼 밑에 아래에 있는 고무판을 붙입니다. 소리가 울리지 않도록 하네요.

수도꼭지를 달고요. 미국 집에는 싱크에 디스포저,  음식 쓰레기 분쇄기가 달려 있습니다. 
설치를 해주고요. 


마지막 작업~ 백스프레쉬, backsplash #주방타일 시공합니다. 

부엌의 마지막 작업인 타일!

벽이 고르지 못한 부분은 석고를 발라서 높이를 맞추어 주었습니다.

레인지 부분에 스터드를 하나 박아주고요. 

유리타일 사이즈를 미리 잘 재서 계획을 잘 짜야 합니다.
중간을 어디로 할지 등등

붙이기 시작합니다.

3미리 짜리로 사이를 띄웠어요.

벽을 고르게 했기 때문에 큰 어려움 없이 평평하게 잘 됩니다.

옆면도 붙이고요 타일 붙이기 전에 알루미늄 타일 엣지를 붙입니다.
타일 종류에 따라 에지 부분 타일이 세트로 있는데, 이 타일은 없더라고요.

타일 끝부분이  안 보이도록 끼워서 잘 넣어주어요.

유리 타일이라 세로로는 커팅이 쉬운데 가로로 가늘게 자르는 건 참 힘듭니다.
유리타일은 일반 타일에 비해  커팅 할 때  잔가루가 무기가 될 수 있으니 손끝을 조심해야 합니다. 
눈 보호 안경도 꼭 착용하시기 바랍니다.

줄눈 그라우트는 회색으로 잘 마무리합니다.

전기 아웃렛이랑 스위치를 마무리해주고요. 앗 커버 위가 살짝 떴네요. 다시 마무의리~ 해줍니다.

완성했습니다.


완성과 함께 다시 보는 #비포애프터

30년 된 주방 리모델링을 여기서 마칩니다. 


오늘 설치할 싱크대, 캐비닛은 SEKTION Kitchen cabinets이 기본으로, 
주방 캐비넷이 되고, 문과 손잡이의 디자인과 색깔만 고르면 되는 시스템입니다.


일단 완성 샷 먼저 살짝 보여드리고~ 

#이케아싱크대


지난 1탄에서는 주방과 거실 벽에 창문을 만들었습니다. 
오늘은 그 다음 작업을 이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30년 된 주방 리모델링 1탄 (창문 뚫기, 선반 만들고, 크라운 몰딩)
https://2pinetrees.tistory.com/58

오늘은 여기부터 시작입니다. 


일단 페인트를 칠해줍니다.

윗 사진은 주방 안쪽, 아래 사진은 밖으로 난 반대쪽입니다. 
페인트 색은 핑크핑크 ^^;;

미국 집에 냉장고 자리에는 저렇게 전기와 수도시설이 함께 되어 있습니다. 
냉장고에 정수필터가 있어서 얼음과 식수 이용이 편해요.

 
본격적인 작업에 앞서 일단 바닥을 먼저 정리했습니다.
30년 된 목조주택이라 바닥이 고르지 않은 부분이 있거든요. 일단 평평하게~

아래 합판을 새 합판으로 붙이고

위에 한 장을 더 붙여서 수리를 마무리해줍니다.

현관은 카펫이 깔려있었고 주방은 장판이 깔려 있었기 때문에, 부엌에 합판이 한 장 더 깔려 있었는데요
전체를 마루로 깔려고 현관 쪽에 같은 높이로 합판을 한 장 더 붙여주었어요.
주방 바닥을 다 뜯는 방법도 있지만, 두 장이면 더 튼튼하니까요.
한 장짜리 바닥은 꿀렁꿀렁하거든요.

케비넷을 붙이기 전에 마루를 먼저 깔았습니다.
아직 몰딩 처리 전이지만 마땅한 사진이 이것뿐입니다. ㅎㅎ
전에는 마루를 맨 나중에 했는데요.
두 가지다 장단점이 있습니다.

벽에 캐비닛용 레일을 달아줍니다.

그리고 케비넷을 달아주어요

캐비닛 뒤에 요런 고리가 있어서 레일에 걸면 됩니다.

차례차례 붙여주고요. 높이를 맞추어 줍니다. 

아래쪽 케비넷도 레일에 걸어줍니다.

캐비닛 위치가 정확하면 이렇게 락을 걸고

플라스틱 커버를 끼우면 깜쪽~

다리는 빈약해 보이는 플라스틱인데 힘은 잘 받아요. 나름 튼튼..

바이스로 옆 캐비닛과 잡고 피스를 박아줍니다.

아래 위로 잘 잡아야 돼요.. 1mm 오차도 잘 보이거든요.

전자렌지는 Over-the-Range Microwave입니다. 
보통 빌트인 전자레인지라고도 하고요. 쿡탑 바로 위에 설치됩니다. 
그래서 전자렌지 아랫부분은 환풍 시스템이 추가되어 있습니다. 
전자렌지가 자리를 안 차지해서 깔끔해 보이는 게 가장 큰 장점입니다. 

앞쪽으로 2인치가 나오도록 저런 각재를 보내줍니다. 이케아에서요..물론 돈 받고..

빌트인이라 옆면이 이렇게 생겼습니다. 
하지만 바로 창문 옆이라 노출이 별로라서 판을 하나 끼워줄 겁니다.

옆판을 끼우고 조명이 들어갈 자리를 준비합니다.

각재로 안쪽틀을 만들고요.

앞판을 붙여주어요. 피스는 안쪽에서 바깥으로 해서 안 보이게 합니다.

그리고 판에 구멍 뚫어 4개의 천정매립등을 끼워 넣으면 됩니다.

짜잔..  날씨가 가장 더울 때였는데 고생 좀 했습니다. 
3탄에는 #RINGHULT 캐비닛 문을 설치하도록 하겠습니다. 
기대해주세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