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같이 지내는 지인의 25년된 미국집 부엌을 리모델링 해주기로 했습니다.


 

저녁 먹으러 갔다가 "여기 여기 이렇게 저렇게 하면 좋겠네요"라고 했다가

코가 껴버렸어요...입이 웬수.. 


장기적으로 생각해보고 계획해보라고 했을뿐인데,

바로 제가 말한대로 시작하자고 하시네요. 



 



전형적인 미국 주방 케비넷입니다. 

나무의 종류와 스테인 색깔만 다를뿐, 

거의 우리동네는 비슷한 스타일 입니다.


늘 느끼는 것이지만, 미국은 크게 변화되는게 없어요.

옛날 영화를 보면, 다른건 사람들 머리모양이랑 자동차 모양뿐, 

사는곳은 계속 비슷비슷 한것 같아요. 

물론 대도시는 하루가 다르게 변하겠지만, 대부분의 도시는 큰 변화가 없습니다. 


한국살때는 미국집들은 다 큰 줄 알았는데


사람사는 곳이 다 똑같다고..요즘은 큰집이 유행이지만 

미국에 오래된 집들은 그리 크지 않습니다.



아무래도 집이 크면 에너지를 많이 써야 하기 때문이겠죠. 

물론 대저택들도 많이 있지만 말이죠. 



 


암튼 좁은 주방과 거실이 있는 주택입니다. 

주방과 거실 사이에... 색칠한 부분을 터서 아일랜드를 놓고, 다이닝테이블 겸해서 쓰면 어떨까 싶었던거죠. 


색칠한 부분 주방쪽에는 싱크가 있고, 거실쪽에는 사용하지 않는 티비와 턴테이블이 있었습니다. 





철거 시작하겠습니다. 


11자형의 양쪽의 케비넷, 수납장은 오래된 오크원목입니다.



케비넷을 하나씩 하나씩 제거합니다.


나사 몇개만 빼면 하나씩 떨어져요.



거실쪽 벽입니다. 


거실쪽 벽은 얼마전에 새로 칠한거라 최대한 상처없이 작업해야됩니다.




살살 뜯으니 전선과 하수배관의 에어관이 보이네요.

석고보드 벽에 구멍을 뚫을때는 조심해야 하는 이유가 보입니다. 


구멍 뚫으려다가 수도관이나 전기선을 건드릴수도 있습니다. 

 



이집의 설계도가 없으니 벽이 지붕을 받치는 기본벽인지 아닌지 확인이 필요하죠..


하중을 많이 받는 벽은 보강이 필요하거든요.


다행이 하중을 많이 받는 벽은 아닙니다. 






반대쪽은 최대한 이쁘게 자르고요



싱크대를 제거하고 부엌쪽벽을 완전 제거합니다.


중간 나무 스터드를 잘라주고요. 배관을 옆으로 돌립니다.





하수나갈때 에어를 지붕위로 빼주는 거예요.


요즘은 필터같이 생긴 작은거를 많이 쓰는거 같습니다. 





배선작업을 깔끔히 하고요 


위쪽에 빔을 설치합니다.


오른쪽 옆에 옛날 문위에는 없네요. 하중받는 벽이 아니란 얘기지요..


그래도 집주인의 걱정을 덜요량으로 빔을 설치합니다.


 


석고보드를 붙이고 석고로 사이를 메꿔줍니다.






이제 오븐이 있는 반대쪽도 시작해 볼까요.



케비넷을 하나씩 뜯고요.
오븐과 냉장고를 옮겼습니다. 

25년 사용하신 오븐도 새로 바꿀껍니다. 



벽에 구멍도 있네요..후덜덜

25년전에는 미국에 벽지가 대유행이라 

화장실과 주방에는 벽지를 많이 사용했습니다. 꼭 과일모양 벽지띠도 둘러줬습니다. 


요즘은 다 그냥 페인트입니다.


옛날 한국유행을 생각해보면 똑같아요..시기적으로..




주방에 있는 모든것을 싹 쓸어냈습니다. 저 문은 주차장으로 나가는 문입니다. 


다 뜯어내니 많이 좁진 않네요.. 창가에는 제가 만들어드린 4인용 식탁도 놓고 썼으니까요...



다음편에서는 케비넷, 수납장을 설치해 보겠습니다. 



오늘은 마루를 깔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미국에서 집을 사면 보통 카펫이 깔려있습니다. 


아파트도 다 카펫이죠


미국사람들이 카펫을 많이 쓰는 이유는 냉난방이 온돌이 아니기도 하지만 


마루보다 싸기때문이기도 합니다.




한국에 흔히 쓰는 장판은 부엌에 조금 쓰는 정도입니다. 





카펫에서 몇년 생활하다가 집을 마루로 바꿨더니... 


두가지다 장단점이 있더라구요. 



카펫을 가장 큰 장점은 


바닥이 포근한것과, 소음이 거의 안나는것, 그리고 청소를 안해도 티가 안나요. 


카펫을 쓸때는 우리 강아지 코코가 날아다녔었는데, 마루를 깔고 나니 조심조심 다니더라구요. 



단점은 먼지! 먼지! 먼지!!! 






마루는 크게 3가지 타입이 있는데요. 

라미네이트 마루와 엔지니어드 마루, 그리고 원목마루 입니다. 


라미네이트(Laminate Flooring)는 몸체는 MDF 이고요. 표면은 인쇄되어 있는 것이죠. 

다양한 색깔에 문양에 요즘은 비싼것도 많이 있지만

제일 싸게 제작이 가능한 마루입니다. 



엔지니어드 마루(Engineered Hardwood)는요, 합판이나 MDF 위에 원목을 붙인마루입니다. 

합판이냐 MDF 냐, 마루 표면의 원목이 두꺼우냐 가스오부시처럼 얇으냐에 따라 가격이 천차만별입니다.

그래도 원목이 붙은거라 라미네이트보다는 자연스럽습니다. 



원목마루야 설명이 필요 없지만 기본적으로 원목마루는 콘크리트바닥에는 어울리지가 않죠. 못으로 박아야 되서요.

본드로 붙일수는 있겠지만 원목은 기본적으로 네일로 박습니다. 


 


카펫을 쉽게 제거하는 방법은 
모서리를 잡고 쭈욱 당기면 빠집니다.
 


까펫을 벗겨내고 나면 카펫 아래 쿠션이 나옵니다. 
이 쿠션도 돌돌 말아서 걷어내고요. 
스테이플로 박아놔서 수월하게 걷어집니다. 
먼지가 많이나니 마스크를 써주면 좋습니다.


요로코롬 걷으면 카펫을 마감했던 쫄대가 벽 밑으로 쭉 박혀있는데요.



 
이거 제거하는것이 조금 허리가 아픕니다. 

장도리와 망치로 제거합니다. 에구 허리야...


그리고 설치할 마루두께에 맞추어서 몰딩을 잘라줍니다.

깔끔하게 잘라주었습니다.  
 


 청소 한판 해주고요..

청소 하면서 바닥상태도 꼭 확인해야겠지요.
 
 


미국집의 바닥은 보통 두가지인데요.

하나는 우리에게도 익숙한 콘크리트, 하나는 보시는것과 같은 합판입니다. 




합판으로 되어있는집은 오래되면 바닥이 울퉁불퉁해지기도 합니다. 

그럼 마루를 깔기전에 평평하게 수리를 해야됩니다. 


이마루는 엔지니어드 우드로 가격은 좀 싼편입니다 


전체적으로 마루밑 폼을 깔아줍니다.

이게 종류가 다양한데요. 너무 두꺼워도 안됩니다. 마루가 푹신하면 안어울리잖아요.


깔기전에 무거운 마루를 옮겨놓고요
깔기시작합니다.





이마루는 엔지니어드 우드에  Lock 이 있는 제품이라 끼우는 방식입니다 

몰딩 밑으로 깔끔하게 넣어주고요


요로코롬 쏘옥 들어가겠습니다.



다 깔았으면 몰딩을 붙여줍니다 



코킹을 해주면 깔끔


거실쪽과는 색이 다르지만 문을 닫았을때 보이는 쪽 색깔로 T 몰딩을 해줍니다 




어느새 다 되었군요



Closet 붙박이장 안에도 연결해서 깔아주고요










 
참 쉽죠잉 여러분도 도전!~

나무작업에 익숙하신 분들에게는 꼼꼼히 하다보면 아주 어렵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의 글쓰기는 지영입니다. 

요즘 우리집은 대대적인 거실 리모델링 중입니다.
벌써 이 집에서 살아온 세월도 10년! 
구석구석 손볼 곳도 더러운 곳도 많아졌어요.

짐을 이쪽으로 밀고, 저쪽으로 밀고 공사하면서
작은 소품들도 정리하고, 깔끔하고 새로운 분위기를 만드는 중입니다. 
잡스러운 것들 자꾸 사들이지 말아야지 하면서도 자꾸 사게 되는 건... ㅎㅎ 

다행스럽게도 요즘은 미니멀리즘이 유행이라고 하니, 버리고 버리고 집 좀 넓게 써야겠어요.  

마리메꼬 Marimekko / 패브릭 액자 가리개 만들기


우리집 현관에는 못생긴 알람과 도어벨 스피커, 히터 에어컨 조절기, 등 스위치가 자리하고 있어요. 
오른쪽에 위치한 문은 현관, 왼쪽에 위치한 문은  Coat Closet으로, 작은 옷장이라고 할 수 있어요. .
들어오고 나갈 때 코트를 걸어놓는 곳입니다. 

웨인스코팅 몰딩 + 머드룸 공사 중인 우리집 현관입니다.

못생긴 애들을 가려주기 위해 10년 전에 만든 가리개입니다. 
나름 선반 겸 해서 여행 중에 모은 소품들도 함께 놓을 수 있게 만들었어요. 
그냥 달까 하다가,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는데,
우리도 분위기 좀 바꾸자 싶어서 가리개 위에 달린 문짝 떼내고
집에 굴러다니는 패브릭 중에 골라서 타카로 박아줬습니다.

before. 10년 전 이사 와서 만들었던 현관 가리개~

 선물로 우리 집에 오게 된 패브릭입니다.

제가 보기에는 이케아에서 파는 천이나 이거나 별로 큰 차이 모르겠는데, 
유명한 거라고 하니 그런 줄 알고 사용했어요.  

마리메꼬 Marimekko / 패브릭 액자 가리개 만들기

페인트도 새로 칠한 벽입니다. 
전에 있던 색이랑 거의 비슷하거라 티도 별로 안 나지만 전에 있는 더러움들은 모두 없어졌어요.

마리메꼬 Marimekko / 패브릭 액자 가리개 만들기

간단히 꼭 필요한 것만 사고, 대충 살자 하면서도
필요한 것들이 왜 이리 많은지 모르겠어요. ㅠㅠ

마리메꼬 Marimekko / 패브릭 액자 가리개 만들기

촌스런 도어벨 스피커와 알람 시스템 완전 다 가려버렸어요. 

평화로운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웨인스코팅 Wainscoting 몰딩작업을 해봤습니다.


이번 작업에는 3/4 inch (18mm) MDF로 작업을 해보았습니다. 


 


어떤 재료로 어떤 디자인으로 할까 고민을 많이 해봤는데, 


좀 오래 질리지 않고 고급스럽게 하고 싶은 욕심도 있었고,

부잣집에 가보면 거의 이정도 두께를 쓰더라는 

우리 집주인님의 허영심도 좀 채워주고 싶기도 했고, 

내가 새가방은 못사줘도 니가 좋아하는 웨인스코팅 몰딩 정도는...


 


나중에 혹시라도 집을 팔게되면 금방 팔리는데 큰 공을 하리라는 기대도 좀 있었습니다. 



 


멋지죠?  작업과정을 좀 길게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맨 아래 완성샷이 많이 있으니 쭈욱 읽어주세요. 





몇년만에 우리집 분위기를 바꾸게 됐습니다. 





그럼 Before 먼저 보실까요? 

그당시 유행하던... 와이프가 유행이었다고 우기는.. 

루바패널이 있던 우리집거실 한쪽벽입니다. 




어디서 봤는지 이렇게 하라고 시켜놓고는 혼자 만족하더라는...

와이프 친구들도 좋아하기는 했습니다. 어쩌면 저만 싫어했는지도 모르겠어요. 

그리 좋아하더니만, 드디어 싫증이 나셨는지 아님 

또!!! 다른것에 꽂히셨는지..또 오더를 하십니다.





 

문제는 그당시 장비며 기술이며 실력이며 부족했던 시기에 시공을 했던지라 

루바를 글루건으로 붙였다는 전설의 옛날 이야기가 있습니다.


 

제가 무슨 권한이 있겠습니다. 시키면 시키는대로 열심히 해야죠. 



도굴하듯 최대한 살살 뜯고 보니



이 무슨 말도 안되는 벽이란 말인가...그때 타카가 있었다면 이런 불상사가 없었을 것을.



드라이월 석고로 쳐발쳐발 해줍니다. 



그리고 사포질하고요. 


프라이머 발라줍니다. 




베이스 몰딩을 살살 뜯어내고요.  삑삑이로 벽에 스터드를 찾아 놓습니다.  



몰딩중 밑판을 붙일 높이를 잡아줍니다. 


 


3/4인치 MDF 판을 사다가.. 이게 엄청 무거워요.. 




3/4 인치 MDF 합판을 5,1/2 인치로 잘라서 하단 베이스로 붙여줍니다. 


아래부터 8인치 높이입니다.

판과 판은 나중에 혹시 높이가 틀어지거나 하지 않토록 비스켓을 박아줍니다.



한 구석에 먼지 쌓인 비스켓조이너를 쓸 일이 있군요. 


장비는 있으면 다 쓸일이 있다는 저의 주장이~~ ^^



밑판을 타카로 타카! 타카! 박아주시고요.


간격을 잘 나누어서 18인치 높이로 옆판을 붙여줍니다. 





윗판을 붙여줍니다. 중간에 나무스터드를 찾은 다음 그부분에 타카를 박으면 튼튼하게 박힙니다.


석고 부분에 아무리 타카를 박아 봤자 효과없어요.




모서리도 처리하고요.

 

체어레일 윗면은 2인치 너비로 처리해줍니다.


윗면은 MDF로 하려다가 소나무판을 사다가 깍아서 올려줍니다. 




우리동네에는 5~6만원짜리 딸기부페가 없어서 

작은 사치를 부릴곳이 없습니다.  

나름 저만의 약간의 사치랄까요.


 



창문틀을 살살 짤라내고요.




창문 틀을 과감히 뜯어냅니다. 살살..


TIP: 뜯어낼때 먼저 커터칼로 실리콘을 잘라주는것을 잊으면 아니 됩니다. 




석고로 높이를 맞추어 줍니다.. 그리고 사포로 마무리..



베이스 몰딩을 붙이기 전에 올라간 몰딩 밑에 높이를 맞추어 줍니다. 







창문부분은 몰딩위에 판을 올려줍니다. 영어로는 STOOL 

 

살짝 걸터 앉을수 있으니까요..

와이프는 빨강머리앤 창문이라고 부릅니다. 




라운드 몰딩은 사지 않고 라우터로 깍아줍니다. 이게 생각보다 많이 들어가서 사다보면 후덜덜 합니다.


제 돈은 소중하니까요.






요로케 생겼습니다. 집에 있는 안쓰는 선반을 재활용해 만듭니다.




사이즈에 맞게 살살 잘라주고요.





요로코롬 끼우면 됩니다. 


MDF가 몰딩모양의 한계단을 처리합니다.


쉽죠잉~


 

체어레일 밑은 좀더 크게 만들어서 박아줍니다. 


라우터 비트가 한단계 큰거예요.



화장실 앞쪽도 



몰딩을 제거하고요.




새로운 몰딩으로 


 

현관 옆도 해주고요.


 



떼어놨던 몰딩을 붙입니다. 물론 사이즈가 커져서 조금은 새로 사야되요.


몰딩두께만큼 집이 좁아졌군요..



페인팅을 위해 꼼꼼히 테이핑을 합니다. 


그리고 흰색 프라이머를 바르고요


틈새를 실리콘으로 마감 한후 


페인트를 칠합니다.


몰딩은 흰색에 인테리어용, 광택은 Satin 입니다.




벽도 칠해줍니다. 광택은 Flat




마무리 샷 갑니다. 












 

흰색문과 몰딩이 조명과 그림자 때문인지 얼룩덜룩 나왔어요. 





한쪽 벽에만 포인트 벽지가 발라져 있는데, 

이참에 벽지를 제거할까 하다가 몰딩과 벽지도 잘 어울릴듯 하여 뒀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