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방에 웨인스코팅 몰딩 시공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맨벽이 이젠 허전하게 느껴질 정도로 맘에 들게 됐습니다. 

비용 대비 정말 최고의 인테리어 공사입니다. 



10년 전에 이 집을 골랐던 이유는 주방 때문이었습니다. 

같은 사이즈의 집들 중에서 주방이 가장 넓은 편이었거든요. 

주방과 거실을 구분하는 동그랗게 뚫린 벽과 

거실 천장이 삼각형으로 높다는것이 

우리 옆지기의 눈을 하트하트 하게 했지요.


웨인스코팅 몰딩 공사 전의 모습입니다.

주방에만 가운데 띠 몰딩이 원래 있었어요. 


공사 후 완전히 비웠을 때의 모습입니다. 

어떤 모양으로 몰딩을 할까 고민을 많이 했었는데, 

원래 있던 띠몰딩을 떼 버리기는 아깝기도 했고 모양이 나쁜 것도 아니고요. 

(가격이 쫌 하더라구요 ^^)


있던걸 최대한 살려서 액자 몰딩을 돌려줬습니다.



주방 안쪽 before 사진입니다. 

넓은 주방이었는데, 살수록 좁아집니다. 

왜 이리 필요한게 많을까요?


여기는 주방 쪽. 

아직은 이 모습 그대로입니다. 

전형적인 미국 주방 케비넷입니다. 

카운터탑을 대리석으로 바꾸려고 합니다. 


아일랜드 상판 크기를 좀 키워서 다이닝 테이블을 겸해서 쓰고 

다이닝 테이블 자리에는 작은 티 테이블을 놓는 게 

옆지기의(!!) 계획입니다. 

견적이 좀 나와서 계속 기다리는 중입니다. 



자 그럼 공사 시작하겠습니다. 


저는 라우터로 안쓰는 못쓰는 나무들 모아서 몰딩을 깎아서 비용을 아꼈습니다. 

그 대신 시간도 많이 들었습니다. 

집 전체를 웨인스코팅 몰딩으로 하려니, 돈을 최대한 안쓰고  공사하는게 저의 목표랄까요.

한푼두푼 모아 부자되렵니다. 


몰딩을 사서 쓴다면 아주 간단히 할 수 있는 작업입니다.  


라우터 비트는 세트로 사면 싸긴 한데 

정작 제가 필요한 것은 세트에 포함 안되어 있는 건 저만 그런가요? 


윗 사진은 주방 냉장고 옆부분입니다. 주차장으로 나가는 문이 있습니다. 

이쪽에는 가운데 띠몰딩이 첨부터 없었기 때문에, 

똑같은 모양으로 해줬습니다. 


눈대중으로 나무를 골랐더니 

반대편 원래 있던 티몰딩보다 사이즈가 약간 작더군요. ㅠㅠ

다행스럽게도 말 안해주면 아무도 모릅니다. 


MDF로 멋드러지게 했던 거실 몰딩에 비하면

액자 몰딩을 하면, 아래 베이스 몰딩(걸레받이)도 제거할 필요 없고,

간단해서 좋긴 합니다. 


우리집은 집 전체가 석고보드로 됐기 때문에 

몰딩은 요로코롬 타카로 붙여줍니다. 

나중에 떨어지면 어쩌냐는 생각도 할 수 있지만.

프라이머와 페인트를 칠하면 튼튼합니다.


콘크리트벽에는 목공용 본드로 붙이고 페인트용 블루테이프를 붙여서 

마를때까지 기다리시면 됩니다. 



전에 뚫어놨던 못구멍들은 모두 석고로 채워주고

샌딩을 해주면, 페인트 준비 끝입니다. 


다 옮기는게 귀찮아서 대충 앞으로 땡기고 공사하는 장면입니다.


아래 액자 몰딩을 다 붙여준 후, 역시나 프라이머와 페인트 .

다른 색으로 바꿔볼까 하는 와이프를 달래서 똑같은 색으로 했습니다. 

Before 사진 보시면 알겠지만, 

주방 상부장 위로 벽이 보이기 때문에 거기도 페인트칠을 하려면 ㅠㅠ


프라이머를 먼저 발라주고, 1회 페인팅으로 마감했습니다. 


벽은 샘플을 들고 가서 같은 색으로 광택은 Flat이고

몰딩은 흰색에 인테리어용, 광택은 Satin 입니다.

주방 웨인스코팅 몰딩 인테리어 셀프 시공

커피&와인 스테이션 자리입니다.



냉장고 옆 작은 부분도 처리..

냉장고 옆 주차장으로 나가는 문입니다. 

현관문은 UPS와 손님들 전용이고, 우리는 보통 이 문으로 다닙니다. 


콘센트의 위치 때문에 정확한 비율로 할 수 없을 때가 있어요. 

정말 콘센트의 위치는 늘 생뚱맞죠..

콘센트나 뭐 다른게 있다면 꼭 정확한 비율을 고집할 필요는 없는것 같습니다. 

아무도 모르더라구요.  ^^;;


디리리링~ 

요즘 우리집 주방 모습입니다. 








주방 웨인스코팅 몰딩 인테리어 셀프 시공 끝~!!!



가시기 전에

아래 하트 꾸욱 한번 눌러주세요. 

하트와 댓글은 로그인을 하지 않아도 사용하실 수 있어요~ ^^



드디어 돌판이 왔습니다.

Quartz Countertop 으로 IKEA에서 가장 얇고 저렴한 판을 골랐습니다. 

 



 


아일랜드에 싱크대 구멍은 배송시 깨질 위험때문에 컷팅을 다 하지 않고 가져왔습니다


집앞 주차장 앞에서 컷팅을 하더군요.







위치만 잡아놨더군요..


케비넷 수납장 상판 카운터탑 대리석 설치를 구경하는게 처음이라... 

유심히 봐야지 했는데... 

그냥 올려놓고 코킹만 하더라구요. 


대략난감입니다. ㅋㅋㅋ


 





상판을 올리고 배관작업을 했습니다.


싱크볼와 수도꼭지는 COSTCO에서 할인하는 셋트로 구입.


싱크를 돌판밑으로 안넣고 위로 올린 이유는 이집 안주인께서 요걸 선호하셔서..




디시워셔도 설치하고요.



뒷쪽판도 올리고요.



작은 판들도 올립니다.




몰딩과 코킹등 마무리 작업을 합니다.




케비넷 수납장 상판 카운터탑 대리석 설치 완료


두께는 2센치입니다. 


우리집 주방도 돌판으로 바꿀 계획을 하고 있는데... 

예산이 만만치 않아서 계속 망설이는 중입니다. 

바꿔야지 했다가도, 돈생각하면 꼭 바꿔야하나 싶고...





완성샷 나갑니다.



빠라바람빰~~


지나가는 말로 

좁은 주방과 좁은 거실을 넓게 쓰시려면 터서 

교집합으로 이용하시면 좋을 것 같다고 얘기했다가


바로 시작한 주방 리모델링이었는데요. 


평생 소원이셨다고 해요. 

거의 포기하며 살았었는데, 제가 불을 질렀던거죠. 





벽페인트와 어울리는 의자입니다.

주방 리모델링, 수납장 교체, 상판 시공













케비넷 수납장 상판 카운터탑 대리석 설치완료, 주방 리모델링





 




 





작업 완전 끝나고, 늦은 마무리 식사..








새 오븐에서 구워나온 칠면조 다리입니다.



맛있는음식 할때마다 우리가족을 초대하시고, 

맛있는 요리를 우리집으로 배달까지 해주시는 훌륭한 분이신데... 


늘 즐겁게 주방에 계실 생각하시면 

제 허리는 아프지만... 

뿌듯합니다.


케비넷 상하부장, 주방 수납장을 작업해보겠습니다.


지난편에 우리 동네 대부분 집들의 주방 수납장 스타일을 보여드렸는데요. 


HOME DEPOT와 LOWE'S에서 가격 견적을 받아보고, 계산기도 두드려보고

여기저기 구경도 해보고

IKEA 유러피안 스타일로 결정하셨습니다. ^^





벽에 레일을 설치해서 걸어주는 방식입니다.


그냥 나사못을 박아주는 것보다 훨씬 튼튼하고 작업이 수월합니다.




밑 캐비넷 하부장도 붙여주고요.





거실쪽 아일랜드용 하부장도 설치합니다. 


레벨을 잘 맞추어야 됩니다. 



케비넷 수납장의 문짝도 달아주고요.



밑에 가림막이 토팬스를 달아줍니다. 




전자렌지도 달아줍니다.


벽에서 2인치 앞쪽으로 띄워야 된다는 사실...



캐비넷 밑에 LED 조명도 줄줄 달아주고요..


전원은 전자렌지뒤쪽에서 뽑고 벽에 스위치를 만들어 주었습니다. 


서랍도 달아주고요..




캐비넷을 설치후 바닥 마루를 다시 깔았습니다. 


기존에 깔았던 마루는 2년전에

마루를 업으로 하시는 형님에게 얻어서 깔아드렸던

 가격 저렴한 강화마루(라미네이트)였는데요.


 


이번에는 조금 업그레이드를 해서 엔지니어드 마루 커피색으로 깔았습니다.

쓰시는 김에 팍팍 쓰셨습니다. 


참고로 라미네이트 강화마루는 MDF에 나무문양을 프린트해서 붙인 마루를 말하고, 

엔지니어드 강화마루는 합판에 원목 무늬목을 붙인 마루를 말합니다. 


커피도 카푸치노같은 색이 아니고요 아메리카노 색입니다. 


 


이뿌지요..재질은 오크입니다.

제 옆지기도 이 마루를 참 맘에 들어하더라구요.



 



그럼 벽페인트를 칠하겠습니다.


페인트는 집주인인 미스터 머큐리오께서 직접하셨어요. 

이태리에서 온 이민 2세이십니다. 


이태리 발음으로는 막꾸리오..

이태리 발음이 참 쎄기는 한 것 같습니다. 


색만 제가 골라 주었습니다.



아일랜드에서 쓸 의자 색에 맞추어서 오렌지 레드톤으로 작업했습니다.


호불호가 갈릴까요.. 암튼 이집 식구들을 대만족..



창문옆 다이닝테이블이 있던 자리에는 

캐비넷이 없었지만 작은 사이즈로 새로 넣었습니다.


싱크위에 있던 상부장을 없앴기 때문에 수납공간이 더 필요하기도 했고,

원래 주방 다이닝테이블에서 공부도 하시고, 서류작업도 하시고 했었기 때문에

좀... 독립된 공간이 있으면 좋겠다 싶기도 했거든요. 







요 공간을 참 좋아하시더라구요. 창문밖에 꽃도 심으시고, 뒷마당 정리도 하셨다고 해요. 



카운터탑은 캐비넷을 100% 설치를 완료해야 길이를 재러 옵니다.  

인조대리석 돌판으로 주문..


돌판 주문후 일주일후에 재러 오고..10일후에 돌판이 왔어요..그동안 설거지는 욕실에서..





빌트인 식기세척제자리입니다. 

2x4 나무로 지지대를 만들어 주었습니다. 


미국집에는 세탁기는 없는 집이 있어도, 식기세척기 없는 집은 거의 없습니다. 





25년된 스위치와 콘센트도 전부 이뿐이로 교체..



아일랜드 위에 조명도 3개 달았어요..




오븐도 새거로 넣었습니다. 



그새 이집 안주인께서는 모든 주방용품 정리끝...



이상태에서 10일을 인조대리석 돌판을 기다렸습니다...



아빠와 아들은 계속 밥 사먹는다고 좋아라하고


안주인께서만 디자인 고르시랴, 모자란거 또 사러 가시랴, 

케비넷 설치후에는 정리하랴, 

화장실에서 설거지 하시라 고생많이 하셨습니다. 



 



다음편에서는 

카운터탑 인조대리석 돌판 설치모습과 

완성된 모습 보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가족같이 지내는 지인의 25년된 미국집 부엌을 리모델링 해주기로 했습니다.


 

저녁 먹으러 갔다가 "여기 여기 이렇게 저렇게 하면 좋겠네요"라고 했다가

코가 껴버렸어요...입이 웬수.. 


장기적으로 생각해보고 계획해보라고 했을뿐인데,

바로 제가 말한대로 시작하자고 하시네요. 



 



전형적인 미국 주방 케비넷입니다. 

나무의 종류와 스테인 색깔만 다를뿐, 

거의 우리동네는 비슷한 스타일 입니다.


늘 느끼는 것이지만, 미국은 크게 변화되는게 없어요.

옛날 영화를 보면, 다른건 사람들 머리모양이랑 자동차 모양뿐, 

사는곳은 계속 비슷비슷 한것 같아요. 

물론 대도시는 하루가 다르게 변하겠지만, 대부분의 도시는 큰 변화가 없습니다. 


한국살때는 미국집들은 다 큰 줄 알았는데


사람사는 곳이 다 똑같다고..요즘은 큰집이 유행이지만 

미국에 오래된 집들은 그리 크지 않습니다.



아무래도 집이 크면 에너지를 많이 써야 하기 때문이겠죠. 

물론 대저택들도 많이 있지만 말이죠. 



 


암튼 좁은 주방과 거실이 있는 주택입니다. 

주방과 거실 사이에... 색칠한 부분을 터서 아일랜드를 놓고, 다이닝테이블 겸해서 쓰면 어떨까 싶었던거죠. 


색칠한 부분 주방쪽에는 싱크가 있고, 거실쪽에는 사용하지 않는 티비와 턴테이블이 있었습니다. 





철거 시작하겠습니다. 


11자형의 양쪽의 케비넷, 수납장은 오래된 오크원목입니다.



케비넷을 하나씩 하나씩 제거합니다.


나사 몇개만 빼면 하나씩 떨어져요.



거실쪽 벽입니다. 


거실쪽 벽은 얼마전에 새로 칠한거라 최대한 상처없이 작업해야됩니다.




살살 뜯으니 전선과 하수배관의 에어관이 보이네요.

석고보드 벽에 구멍을 뚫을때는 조심해야 하는 이유가 보입니다. 


구멍 뚫으려다가 수도관이나 전기선을 건드릴수도 있습니다. 

 



이집의 설계도가 없으니 벽이 지붕을 받치는 기본벽인지 아닌지 확인이 필요하죠..


하중을 많이 받는 벽은 보강이 필요하거든요.


다행이 하중을 많이 받는 벽은 아닙니다. 






반대쪽은 최대한 이쁘게 자르고요



싱크대를 제거하고 부엌쪽벽을 완전 제거합니다.


중간 나무 스터드를 잘라주고요. 배관을 옆으로 돌립니다.





하수나갈때 에어를 지붕위로 빼주는 거예요.


요즘은 필터같이 생긴 작은거를 많이 쓰는거 같습니다. 





배선작업을 깔끔히 하고요 


위쪽에 빔을 설치합니다.


오른쪽 옆에 옛날 문위에는 없네요. 하중받는 벽이 아니란 얘기지요..


그래도 집주인의 걱정을 덜요량으로 빔을 설치합니다.


 


석고보드를 붙이고 석고로 사이를 메꿔줍니다.






이제 오븐이 있는 반대쪽도 시작해 볼까요.



케비넷을 하나씩 뜯고요.
오븐과 냉장고를 옮겼습니다. 

25년 사용하신 오븐도 새로 바꿀껍니다. 



벽에 구멍도 있네요..후덜덜

25년전에는 미국에 벽지가 대유행이라 

화장실과 주방에는 벽지를 많이 사용했습니다. 꼭 과일모양 벽지띠도 둘러줬습니다. 


요즘은 다 그냥 페인트입니다.


옛날 한국유행을 생각해보면 똑같아요..시기적으로..




주방에 있는 모든것을 싹 쓸어냈습니다. 저 문은 주차장으로 나가는 문입니다. 


다 뜯어내니 많이 좁진 않네요.. 창가에는 제가 만들어드린 4인용 식탁도 놓고 썼으니까요...



다음편에서는 케비넷, 수납장을 설치해 보겠습니다. 


+ Recent posts